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장애인 고용 부담금 신고대상, 납부금액, 의무고용율, e신고 바로가기

by 리새로이 2023. 4. 13.

상시근로자 50명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주는 법정 의무고용율에 따른 장애인 근로자를 의무적으로 고용하여야 하며 상시 100명 이상 고용사업주는 의무고용 미이행 시 부담금을 신고·납부하셔야 합니다.

 

 

 

신고 납부 절차

 

신고기한

  • 2023. 1. 1. ~ 2023. 1. 31. (법정기한 : 매 연도 1월 31일까지)
  • 연도 중에 사업을 그만두거나 끝낸 경우에는 그 날부터 60일 이내에 신고·납부

신고 및 납부방법

  • 부담금 신고서 작성
  • 구비서류 첨부하여 전자신고 또는 우편·방문을 통해 관할 공단 지역본부·지사에 제출
  • 납부기한(2023. 1. 31.) 내 국고수납금융기관에 납부

 

제출 서류

  • 고용부담금 신고서(「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시행규칙」 [별지 제15호 서식])

[별지 제15호서식] 장애인 고용계획 및 실시상황 보고서¸ 장애인 고용부담금(신고서¸ 수정신고서)¸ 장애인 고용장려금 지급신청서¸ 장애인 고용부담금 분할납부 신청서(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시행규칙).hwp
0.04MB

 

 

[별지 제15호서식] 장애인 고용계획 및 실시상황 보고서¸ 장애인 고용부담금(신고서¸ 수정신고서)¸ 장애인 고용장려금 지급신청서¸ 장애인 고용부담금 분할납부 신청서(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시행규칙).pdf
0.17MB

 

 

  • 장애인 근로자 명부 장애인 또는 중증장애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사본(해당 근로자에 대해 최초 제출 후 생략 가능)
  • 장애인 근로자의 월별 임금대장 사본(소득자별 근로소득 원천징수부 사본으로 대체 가능)
  • 전체 근로자의 월별 임금대장 사본 또는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사업장별로 이행상황 신고를 하는 경우 각 사업장별 이행상황신고서를 함께 제출)

전자신고 납부절차

  • 전자신고를 하면 부담금 납부 금액이 자동 계산되므로 편리하고, 신고 접수 누락으로 인한 불이익 방지 할 수 있습니다.
  • 회원가입 후 공동인증서를 통해 접속하여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

 

근거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33조

 

신고대상

  • 월 평균 상시 100명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주 민간사업주,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 교육감,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의 장 모두 신고 대상입니다. 특정 월의 상시근로자 수가 100명 미만이더라도 월 평균 상시근로자가 100명 이상이면 신고 대상입니다. 상시근로자 : 매월 임금지급의 기초가 되는 날이 16일 이상인 근로자(‘06. 1. 1. 이후) 다만,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자(중증장애인 예외)는 제외(‘05. 1. 1. 이후)

 

부담금 납부금액

  • 의무고용률에 따라 고용하여야 할 장애인 총수에서 상시 고용하고 있는 장애인 수를 뺀 수에 고용수준별 적용 부담기초액을 곱한 금액의 연간 합계액을 납부합니다.

기준(적용)연도 2022년 2023년
신고연도 2023년 2024년
사업주 유형별 의무고용률 민간사업주(월평균 상시근로자 100명 이상) 3.1% 3.1%
국가 및 지자체의 장, 교육감(공무원) 3.6% 3.6%
국가 및 지자체의 장, 교육감(공무원이 아닌 근로자)
공공기관의 장
지방자치단체의 지방공사, 지방공단, 출자/출연법인의 장

*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에 따른 교육감(교육청)은 「장애인고용 족진 및 직업재활법」 부칙(제14500호, 제18308호)에 근거, 공무원 부문 적용년도 2020년~2022년 부담금 총액의 1/2 감액, 적용년도 2022년~2024년 의무고용률 상승에 따른 추가 발생금액의 1/2 감액

 

부담금 기초액 바로확인

 

 

문의처

  • 전국대표번호 : 1588-1519
  • 관할 공단 지역본부,지사 기업지원부로 문의하시면 편리합니다

 

< 같이 보면 좋은 정보 >

 

장애인 표준 사업장 설립 지원 바로가기 (tistory.com)

 

장애인 표준 사업장 설립 지원 바로가기

장애인표준사업장 설립지원 이란 경쟁노동시장에서 직업활동이 곤란한 중증장애인의 안정된 일자리 창출과 사회통합기반을 조성하고 장애인중심의 직업환경 기준을 제시하여 실질적인 고용

refreshdaily.tistory.com